AI 의존형 글쓰기의 문제점: AI는 그럴듯한 문장을 뽑아내는 ‘언어생성기’
AI는 데이터 속에서 배운 문장을 조합하여 마치 전문가처럼 말합니다. 그래서 AI가 제시하는 답변은 표면적으로는 논리적이고 완벽해 보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그 문장이 현실에서 실제로 통할지 여부는 전혀 다른 문제라는 것입니다.
AI는 언어를 생성할 뿐이지, 제도적 맥락이나 현장의 제약 조건까지 고려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사람들이 종종 착각하는 지점입니다. AI가 말해주는 내용은 ‘가능하다’라기보다 ‘있으면 좋겠다’ 수준의 이상안일 때가 많습니다.
AI가 만들어낸 문장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현실에서는 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I를 ‘언어생성기’로 이해하고, 무비판적 의존을 경계하는 비판적 글쓰기 태도를 소개합니다.
예시: 출입국 관리사무소와의 ‘실시간 핫라인’
예를 들어 AI는 계획서 작성을 도우면서 다음과 같을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AI의 글:
- 국제처–출입국 실시간 소통 채널을 구축
- 출입국 관리사무소와 핫라인 운영: 체류 연장·변경 시 신속 대응
- 위기 대응 프로토콜: 국제처–출입국–학과–상담센터가 즉시 공조
겉보기에 완벽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실제로는 출입국 관리사무소가 업무량 때문에 전화 연결조차 쉽지 않고, 개별 대학과 상시 공조 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즉, AI의 문장은 현실의 벽을 고려하지 않은 이상적인 그림일 뿐입니다. 처음에는 마치 가능한 것처럼 말했지만, 이어서 “현실적으로 어렵다”라고 스스로 정정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앞뒤가 맞지 않는 대답이 발생하는 이유는 AI가 실제 세계를 경험하거나 판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것
위의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명확합니다.
- AI의 문장 = 초안
AI가 제시하는 답변은 사고를 돕는 자료일 수 있지만, 그대로 정책이나 계획에 반영하기에는 위험합니다. - 현실 검증 필수
제도적·행정적 조건은 반드시 사람이 확인해야 하며, AI는 그 과정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 보조 도구로 활용
AI는 생각을 넓혀주는 파트너일 뿐이지, 최종 의사결정권자가 될 수 없습니다.
AI 글쓰기를 대하는 올바른 태도
AI가 뽑아낸 멋진 문장은 우리에게 유용한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문장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면 잘못된 이해나 오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AI 글쓰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아이디어 초안 정리: 생각을 정리하거나 글의 뼈대를 잡을 때 도움받기
- 현실 검증 과정: 제약 조건, 실제 가능성은 반드시 직접 점검하기
- 자기 목소리로 재구성: 최종 글은 본인의 경험과 판단으로 다듬기
결론: ‘AI 문장’과 ‘현실 세계’ 사이의 간극
AI는 언어생성기입니다. 문장은 멋지게 뽑아내지만, 그 문장이 현실에서 그대로 통용될지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무비판적으로 AI에만 의존하는 글쓰기는 결국 자기 판단력을 약화시키고, 현실과 동떨어진 결론을 만들 위험이 있습니다.
진짜 글쓰기는 AI의 말을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 아니라, 그 말을 검증하고 재구성하면서 자기 목소리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이것이야말로 AI 시대에 필요한 비판적 글쓰기 태도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리터러시와 언어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범죄와 디지털 문해력(2)_유혹형 사기 (6) | 2025.05.25 |
---|---|
사이버범죄와 디지털 문해력(1)_피싱 (8) | 2025.05.25 |
이용자 간 미디어 소통(2)_후기 리터러시 (11) | 2025.05.23 |
이용자 간 미디어 소통(1)_댓글 리터러시 (4) | 2025.05.23 |
소셜미디어 소통의 특징 (2)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