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교육 2

다양한 차원의 문해학습자 (+학령기, 시니어, 외국인)

'문해력'은 단순한 '읽고 쓰는 능력'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눈이며, 타인과 연결되는 다리이고, 스스로를 지키는 도구가 됩니다. 그 힘은 각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1. 학령기 모국어 학습자 – 문해는 사회 진입의 통로입니다한국 사회에서 학령기 아동에게 국어 교육은 단순한 언어 수업이 아닙니다. 그것은 사회 구조 속에서 자신을 위치시키고, 나아갈 길을 결정짓는 초기 기반 작업입니다.아동기의 문해력은 학교 성적, 수능 점수, 진학의 가능성 등으로 가시화되며, 곧 제도권 안에서의 경쟁력과 직결됩니다. 시험 중심의 교육제도에서 ‘읽고 이해하며, 요약하고 비판하는 능력’은 모든 교과 학습의 기본 도구로 기능하며, 나아가 ‘표준 시민’의 자격을 획득하는 열쇠가 됩니다.하지만 이 시기에..

카테고리 없음 2025.09.23

<문해교육의 힘: 라틴아메리카 혁명의 현장>

데이비드 아처(David Archer) & 패트릭 코스그레이브(Patrick Costgrave) 저, 학이시습 1. 책 소개 『문해교육의 힘: 라틴아메리카 혁명의 현장』은 문해교육을 단순히 읽고 쓰기를 가르치는 기술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억압받는 민중이 스스로 현실을 인식하고 사회 변화를 만들어가는 정치적·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문해력을 치밀하게 보여주는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실질적 사례를 바탕으로, 문해력이 어떻게 사회 운동, 조직화, 권력 재구성과 연결되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1980년대부터 중남미 여러 국가에서 진행된 문해교육 현장을 깊이 있게 파헤쳐 소개합니다. 엘살바도르의 난민 공동체, 니카라과의 전국 문해운동, 온두라스 농민협동조합, 멕시코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