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리터러시와 언어생활 35

미디어의 역사(1)_매스 미디어 시대

미디어의 변화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Digital Media Literacy)의 차이를 이해합니다. ‘미디어’의 탄생미디어라는 개념이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주목받게 된 이유는, 그 시기부터 라디오와 텔레비전 같은 매체들이 대중 사회에서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전에는 사람들의 정보 수집 방식이 주로 직접적인 경험이나 가까운 사람들로부터의 전달에 의존했지만,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더 넓은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사건 현장을 직접 가지 않더라도,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매체를 통해 뉴스가 전달되면서 사람들은 멀리 떨어진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서도 빠르게 알 수..

문해(리터러시) 환경의 변화

♠ 리터러시(Literacy):  일상생활의 기본 능력 리터러시는 단순히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것을 넘어,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리터러시는 필수적인 기본 역량으로 작용하며, 일상생활, 직장, 학습, 금융, 사회 활동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 일상생활에서의 리터러시 리터러시는 우리가 매일 접하는 글과 숫자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 메뉴판을 읽고 원하는 음식을 주문하는 것, 약품 설명서를 보고 정확한 복용법을 이해하는 것, 도로 표지판을 해석하여 안전하게 길을 건너는 것 모두 리터러시의 적용 사례입니다. 또한,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설명서를 읽고 기능을 익히는 것도 리터러시의 한 형태입니다. b. 업무와 관련..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의 출발점; 언어 이해

언어는 우리의 경험과 사고를 기호화하는 가장 근본적인 매개물입니다. 우리는 생각과 감정을 직접 전달할 수 없습니다. 대신, 언어라는 기호 체계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공유합니다. 더 나아가 언어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우리의 사고 구조를 형성하고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언어를 사용해서 생각을 표현하지만, 동시에 언어는 우리의 경험과 사고방식을 결정짓기도 합니다. 우리의 삶과 한시도 떨어질 수 없는 언어의 속성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  언어는 우리의 경험을 기호화하는 미디어우리의 ‘경험과 느낌, 사고’는 언어 이전 단계에 존재하는 원천적 정보입니다. 감각을 통해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유하는 과정은 본질적으로 비언어적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타인과 공유하..

전통적인 문해력의 유효성

우리가 문해력을 논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특정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아는가, 모르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사례들만 보아도 이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심심한 사과’를 ‘지루한 사과’로, ‘사흘’을 ‘4일’로, ‘금일’을 ‘금요일’로 잘못 이해하는 일이 잇따라 보도되었고, ‘추후 공고’를 특정 학교의 이름으로 착각하는 이야기나 ‘우천 시 장소 변경’이라는 안내를 어느 지역을 지칭한 말로 오해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일화들은 단어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단어가 놓인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할 때 생기는 혼란을 보여줍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때로 다음과 같은 반응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어머, 이 단어도 몰라? 요즘 애들 문해력 큰일..

오늘날 '리터러시'의 의미

'리터러시(literacy)'는 'liter-' + '-acy'로 분석할 수 있고 'liter-'는 라틴어 littera에서 유래한 어근으로, '글자(letter)', '문자', '문학'과 관련된 의미를 지닙니다. '-acy'는 명사형 접미사로, 특정 상태(state)나 능력(ability)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literacy’는 ‘문자와 관련된 능력’,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즉 ‘문해력(文解力)’을 뜻하며, 초기에는 단순히 읽기와 쓰기의 능력(문해력)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개념이 확장되었습니다. 특정 분야에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도 ‘리터러시’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디지털 기기와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